센다이시 지하철 난보쿠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센다이시 지하철 난보쿠선은 1987년 개통된 센다이 시의 지하철 노선으로, 이즈미추오역에서 도미자와역까지 17개 역을 운행한다. 1960년대 이후 센다이시 교외의 주택 건설 증가로 교통망 확충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건설되었으며, 1981년 착공하여 1987년 야오토메~도미자와 구간이 먼저 개통되었다. 1992년 이즈미추오역까지 연장되면서 현재의 노선이 완성되었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복구되어 재개되었으며, 2024년에는 신형 3000계 차량이 투입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7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은 부산광역시를 운행하는 도시철도 노선으로, 1985년 개통 이후 단계적 연장을 거쳐 노포역과 다대포해수욕장역을 잇는 40개 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000호대 전동차가 운행되고 시설 개선 사업이 진행 중이다. - 1987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광양제철선
광양제철선은 포스코 광양제철소 인입선으로 건설되어 광양항 개발과 포스코 성장에 기여하며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는 총 4개의 역을 가진 화물 수송 철도 노선이다. - 미야기현의 철도 - 오후나토선
오후나토선은 이와테현의 이치노세키시와 오후나토시를 잇는 철도 노선으로, 동일본 대지진 피해와 이용객 감소로 일부 구간이 폐선 및 BRT로 대체되어 현재는 이치노세키역에서 모리역 구간만 운행 중이다. - 미야기현의 철도 - 리쿠우토선
리쿠우토선은 동일본 여객철도가 미야기현 고고타역과 야마가타현 신조역을 잇는 94.1km의 단선 비전철화 노선으로, 1917년 개통 이후 미야기현과 야마가타현의 교통을 담당하며 27개 역을 운영하고 다양한 온천 지역과 관광지를 연결한다. - 센다이시 지하철 난보쿠선 - 나가마치역
나가마치역은 미야기현 센다이시 다이하쿠구 나가마치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JR 동일본의 도호쿠 본선, 조반선, 센다이 공항철도 센다이 공항선과 센다이 시 지하철 난보쿠선이 지나가는 환승역이며, 과거 군용역으로 개업하여 현재는 지역 주민들의 주요 교통 거점 역할을 수행한다. - 센다이시 지하철 난보쿠선 - 나가마치미나미역
나가마치미나미역은 일본 센다이시 지하철 난보쿠선에 있는 역으로, 섬식 승강장과 건넘선을 갖춘 지하역이며, 1987년 난보쿠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
센다이시 지하철 난보쿠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노선 이름 | 센다이 시 지하철 난보쿠 선 |
원어 이름 | 仙台市地下鉄南北線 (센다이 시 치카테쓰 난보쿠센) |
노선 색상 | '#317C66' |
![]() | |
종류 | 지하철 |
노선망 | 센다이 시 지하철 |
노선 상태 | 영업 중 |
운영 기관 | 센다이 시 교통국 |
기점 | 이즈미 중앙역 (미야기현 센다이시 이즈미구) |
종점 | 도미자와 역 (미야기 현 센다이 시 다이하쿠구) |
역 수 | 17개 역 |
노선 기호 | N |
개업일 | 1987년 7월 15일 |
최종 연장 | 1992년 7월 15일 |
소유자 | 센다이 시 교통국 |
차량 기지 | 도미자와 차량기지 |
사용 차량 | 1000계 전차 |
노선 길이 | 14.8 km |
궤간 | 1,067 mm (협궤) |
선로 수 | 복선 |
전철화 방식 | 직류 1,500 V 가공 전차선 방식 |
폐색 방식 | 차내 신호 폐색식 |
신호 장치 | ATC |
최고 속도 | 75 km/h |
최대 기울기 | 35 ‰ |
최소 곡선 반지름 | 160 m |
노선도 | |
![]() | |
역 목록 | |
0.0 km | 이즈미 중앙역 (N01) |
1.2 km | 야오토메 역 (N02) |
2.5 km | 구로마쓰 역 (N03) |
3.3 km | 아사히가오카 역 (N04) |
4.3 km | 다이노하라 역 (N05) |
5.4 km | 기타센다이역 (N06) |
6.6 km | 기타요반초 역 (N07) |
7.3 km | 고토다이 공원역 (N08) |
7.9 km | 히로세도리 역 (N09) |
8.5 km | 센다이역 (N10) / 아오바도리역 (환승역, 센다이역과 연결) |
9.4 km | 이쓰쓰바시 역 (N11) |
10.0 km | 아타고바시 역 (N12) |
10.9 km | 가와라마치역 (N13) |
11.7 km | 나가마치 1초메 역 (N14) |
12.4 km | 나가마치역 (N15) |
13.3 km | 나가마치미나미 역 (N16) |
14.8 km | 도미자와 역 (N17) |
지리 정보 |
2. 역사
1960년대 이후 고도 경제 성장으로 센다이시 교외에도 주택 건설이 급증하면서, 이즈미시(현재의 센다이시 이즈미구)의 택지 개발과 교통망 확충 문제가 대두되었다. 현도 센다이 이즈미선의 교통 체증과 버스 수요 포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하철 건설이 추진되었다. 1981년 건설을 시작하여, 1987년 7월 15일 야오토메 ~ 도미자와 구간이 개통되었고, 1992년 7월 15일 야오토메 ~ 이즈미추오 구간이 연장 개통되었다.[13][18]
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해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같은 해 4월 29일 복구되어 운행이 재개되었다.[3]
이후, 선불 카드 시스템(1993년), 긴급 지진 경보 시스템(2007년), IC 교통 카드 (icsca, 2014년) 및 Suica(2016년) 도입 등 다양한 변화가 있었다.
2024년 2월 20일에는 새로 납품된 3000계 차량의 시운전이 시작되었고,[4] 10월 25일에는 3000계 차량의 운행이 개시될 예정이다.[5]
2. 1. 건설 배경
1960년대 이후 고도 경제 성장으로 센다이시 교외에도 주택 건설이 급증했다. 인접한 이즈미시(현재의 센다이시 이즈미구)에서의 택지 개발은 더욱 속도를 더했고, 늘어나는 주택 단지에 교통망이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이었다. 특히 현도 센다이 이즈미선의 교통 체증이 심했고, 자동차뿐만 아니라 버스도 수요가 포화 상태였으며, 이를 완화하기 위해 지하철이 필요하다는 센다이시 심의회의 권고를 받아 1981년에 착공되었다.[9] 지하철 계획 자체는 1963년부터 센다이시가 도입을 위한 조사를 시작했지만, 센다이시의 규모가 작고 오일 쇼크 등으로 인해, 좀처럼 구체적인 진전으로 이어지지 않았다.[9]2. 2. 개통 및 연장
- 1987년 7월 15일: 야오토메 ~ 도미자와 구간이 개통되었다.[13]
- 1988년 3월 1일: 이즈미시가 센다이시에 편입 합병되어, 전 구간이 센다이 시내가 되었다.
- 1992년 7월 15일: 이즈미 중앙 ~ 야오토메 구간이 개통되었다.[18]

2. 3. 동일본 대지진 피해와 복구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해 2011년 3월 11일부터 전 구간 운행이 중단되었다.[3] 이후 수리 작업을 거쳐 2011년 4월 29일 운행이 재개되었다.[3]2. 4. 기타
- 1993년 8월 1일: 선불 카드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 2006년 12월 18일: 도미자와 차량기지에서 회송 중이던 열차가 탈선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 2007년 3월 1일: 긴급 지진 경보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 2014년 12월 6일: IC 교통 카드 "icsca"가 도입되었다.
- 2016년 3월 26일: IC 승차 카드 "Suica"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5]
3. 노선 특징
센다이시 지하철 난보쿠선은 영업 킬로가 14.8km이고, 궤간은 1067mm이다. 총 17개의 역이 있으며, 전 구간이 복선 및 전철화(직류 1500V, 가공 전차선 방식)되어 있다. 최고 속도는 75km/h이며, 1편성은 4량으로 구성되지만, 역의 홈은 최대 6량까지 수용 가능하다. 이즈미추오 - 구로마쓰 구간 및 나가마치미나미 - 도미자와 구간은 지상 구간이다.
3. 1. 노선 정보
영업 킬로: 14.8km궤간: 1067mm
역 수: 17개 역 (기점, 종점역 포함)
복선 구간: 전 구간
전철화 구간: 전 구간 (직류 1500V, 가공 전차선 방식)
지상 구간: 이즈미추오 - 구로마쓰 구간, 나가마치미나미 - 도미자와 구간
최고 속도: 75km/h
1편성 차량 수: 4량
홈 최대 대응 차량 수: 6량
건설 공법
- 구로마쓰 부근 - 기타요반초 부근: NATM 공법 (역 부분은 개착 공법)
- 기타요반초 부근 - 아타고바시 부근: 실드 공법 (역 부분은 개착 공법)
- 아타고바시 부근 - 도미자와 부근: 개착 공법 (일부는 실드 공법)
야오토메 - 기타요반초까지의 5.8km 구간은, 세이칸 터널이나 조에쓰 신칸센의 산악 터널 공사에서 실적이 있는 일본철도건설공단(현·독립행정법인 철도건설·운수시설정비지원기구)이 1980년(쇼와 55년) 12월에 센다이시로부터 수탁하여 건설했다.
3. 2. 건설 공법
- 구로마쓰 부근 - 기타요반초 부근: NATM 공법 (역 부분은 개착 공법)
- 기타요반초 부근 - 아타고바시 부근: 실드 공법 (역 부분은 개착 공법)
- 아타고바시 부근 - 도미자와 부근: 개착 공법 (일부는 실드 공법)
야오토메 - 기타요반초까지의 5.8km 구간은, 세이칸 터널이나 조에츠 신칸센의 산악 터널 공사에서 실적이 있는 일본철도건설공단(현 독립행정법인철도건설・운수시설정비지원기구)이 1980년(쇼와 55년) 12월에 센다이시로부터 수탁하여 건설했다.
3. 3. 연선 풍경
센다이시 지하철 난보쿠선은 센다이시 이즈미구 이즈미추오 지구의 이즈미추오역에서 기타센다이, 센다이시 도심부, 나가마치를 지나 센다이시 다이하쿠구 도미자와역에 이르는 노선이다. 노선 대부분은 지하 구간이지만, 양쪽 끝에서는 고가선 또는 지상선이 된다.- 이즈미추오 ~ 야오토메 ~ 구로마쓰: 이즈미추오역은 지하에 있으며, 역을 나오면 바로 고가 구간이 되어 센다이 스타디움(유아텍 스타디움 센다이)과 나나키타 공원 사이를 지난다. 나나키타강을 건너면 고가역인 야오토메역에 도착한다. 이 지역은 지하철 개업으로 업무·상업 지구가 되었고, 맨션이 많이 들어섰다.
- 구로마쓰 ~ 아사히가오카 ~ 다이하라 ~ 기타센다이: 구로마쓰에서 다이하라까지는 나나키타 구릉의 주택지이다. 구로마쓰역은 반 지하형 역이며, 아사히가오카역에서는 다이하라 삼림 공원을 볼 수 있다. 아사히가오카역을 나오면 지하 구간으로 들어간다.
- 기타센다이 ~ 기타욘반초: 기타센다이 지구는 센다이성의 성하 마을 북단에 해당하며, 센다이 북쪽 교통의 요충지였다. 지하철 개업으로 이 지역은 맨션 밀집 지역으로 변화했다.
- 기타욘반초 ~ 고토다이 공원 ~ 히로세도리 ~ 센다이 ~ 고교: 이 구간은 센다이시 도심부에 해당하며, 현청·시청 북쪽의 업무 지구이다. 이치반초, 주오도리, 센다이역 서쪽 출구 및 업무 지구를 지난다.
- 고교 ~ 아타고바시 ~ 가와라마치 ~ 나가마치잇초메: 이 구간은 히로세강 북안의 강변 지하를 달리며, 오래된 가게와 장인 마을이 있는 서민 거리 지구이다. 최근에는 맨션 건설도 활발해지고 있다.
- 나가마치잇초메 ~ 나가마치 ~ 나가마치미나미: 이 3개 역은 나가마치 지구 내에 있다. 나가마치 지구는 센다이의 남쪽 상업 중심지이며, 현재 대규모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 나가마치미나미 ~ 도미자와: 도미자와역에 도착하기 직전에 다시 고가 구간이 된다. 이 부근은 신흥 주택가가 형성되어 있다. 차량 기지(도미자와 차량 기지)는 도미자와 남쪽에 있다.
4. 운행 형태
모든 열차가 이즈미추오역 ~ 도미자와역 구간을 왕복 운행한다. 다른 노선과는 직결 운행을 하지 않는다. 운행 간격은 평일 낮 시간대와 토요일/공휴일(심야 및 새벽 시간대 제외)은 8~10분 간격, 평일 아침 혼잡 시간대는 3~4분 간격, 평일 저녁 혼잡 시간대는 5분 30초 간격이다.[36]
5. 차량
1000계는 4량 편성으로 운행되는 전동차이다.[43] --
3000계는 4량 편성 전동차로, 2024년 가을부터 도입되어 같은 해 10월 24일에 영업 운전을 개시했다.[35] 3000계는 내구 연한이 다 된 1000N계를 대체하기 위해 도입되었다.[37] --
건설 초기부터 원맨 운전을 전제로 설계되어, 모든 역이 직선 섬식 승강장으로 통일되었다.[9] 또한, 운전사의 안전 확인을 쉽게 하기 위해 차량 운전석은 진행 방향 오른쪽으로 설치되었다.[9] 각 역의 승강장은 6량 편성까지 대응할 수 있는 130m 길이를 갖추고 있으며, 차량 번호도 6량 편성까지 대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43] 2003년에는 일부 4량 편성 열차를 6량 편성으로 늘리는 계획이 있었지만 보류되었고, 사실상 동결되었다.[38]
센다이 시를 달리는 JR선과 비교했을 때, 센세키선과는 같은 직류 전철화 방식을 사용하지만 신호 등 운전 및 보안 시스템이 다르다. 센세키선 이외의 JR선과는 전철화 방식과 운전 및 보안 시스템 모두 다르다. 또한 센다이시 지하철 도자이선과는 차량 규격이 다르다.
지상부의 가선에는 자동 급전 구분 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판 오버를 방지하고 안정된 회생 제동 동작을 돕는다.[39]
6. 역 목록
동일본 여객철도: 도호쿠 신칸센, 아키타 신칸센
도호쿠 본선, 조반선, 센세키선(아오바도리역)
센다이 공항선
센다이 공항선